본문 바로가기

육아21

아빠와 엄마의 우울ㅣ유아ㅣ육아ㅣ보육 우울(depression)은 개인이 겪는 슬픔(sadness), 무기력(hopelessness), 실망(discouragement)의 감정으로 정의된다(DiFlorio& Meltzer,2015). 우울은 정신적으로 문제가 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가장 흔한 정신질환이며,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사건에서 나타나는 가벼운 우울 반응에서부터 특수한 의학적 장애로 인한 우울, 정신병적 우울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이주은, 1995). 우울은 모든 사람들이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언제든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심리상태로서 일시적으로 경험하는 것은 정상적이며 실패, 좌절, 실망, 상실의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우울을 몇 시간, 며칠, 혹은 몇 주 동안 지속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그것은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2020. 5. 8.
아버지의 자아존중감ㅣ유아ㅣ육아ㅣ보육 자아존중감은 한 사람이 자기 자신을 소중히 여기거나 가치를 두거나 승인하거나 좋아하는 정도 또는 한 사람이 자신의 진가(Worth), 가치(value), 또는 중요성에 대한 전체적인 감성적 평가(affective evaluation)로 정의할 수 있다(Blascovich & Tomaka,1991).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selfconcept)과 동일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자아의식(selfknowledge), 자기 이해(selfunderstanding), 자기 신념(selfconfidence), 자기 수용(selfacceptance)등으로 표현된다. 이 중에서 자아개념과 자기 신념은 특히 자아존중감과 유사한 개념으로 인식되는데, 일반적으로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과 유사 개념이지만 하위영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2020. 5. 6.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ㅣ유아ㅣ육아ㅣ보육 스트레스(stress)하는 말의 어원은 라틴어의 'strictus'또는 'stringere'라는 말에서 비롯되었다. 여기서 'strictus'라는 말은 팽팽한(tight), 좁은(narrow)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stringere'라는 말은 팽팽하다(tighten)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어원은 개인이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느끼는 답답한 느낌, 근육의 긴장 등을 반영하고 있다. 이후 스트레스라는 말은 환경에서 오는 어려움, 경제적 곤란 등을 의미했으며 비로소 18세기에 이르러 물리학과 공학에서 스트레스라는 개념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현대적인 의미에서는 공학이나 물리학에서 사용되던 개념을 Selye(1976)가 의학적인 개념으로 사용하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 2020. 5. 4.
아버지의 자아존중감ㅣ유아ㅣ육아ㅣ보육 자아존중감은 한 사람이 자기 자신을 소중히 여기거나 가치를 두거나 승인하거나 좋아하는 정도 또는 한 사람이 자신의 진가(Worth), 가치(value), 또는 중요성에 대한 전체적인 감성적 평가(affective evaluation)로 정의할 수 있다(Blascovich & Tomaka,1991).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selfconcept)과 동일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자아의식(selfknowledge), 자기 이해(selfunderstanding), 자기 신념(selfconfidence), 자기 수용(selfacceptance)등으로 표현된다. 이 중에서 자아개념과 자기 신념은 특히 자아존중감과 유사한 개념으로 인식되는데, 일반적으로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과 유사 개념이지만 하위영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2020. 5. 3.
공동주의와 언어능력ㅣ유아ㅣ육아ㅣ보육 영아기 공동 주의를 살펴본 여러 연구와 이론에서는 언어 습득에서의 공동 주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해왔으며, 공동 주의가 영아의 언어발달에 중요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영아의 언어발달을 지지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았다(Bakeman & Adamson, 1984; Baldwin, 1995; Carpenter, Nagell, & Tomasello, 1998; Desrochers et al., 1995; Dunham & Dunham, 1992; Markus et al., 2000; Mundy & Gomes, 1996, 1997, 1998; Mundy et al., 2007; Scaife & Bruner, 1975; Tomasello & Farrar, 1986). 왜냐하면 영아가 성인과 공동 주의 상황 속.. 2020. 4. 23.
홀리스틱 교육의 역사ㅣ유아ㅣ육아ㅣ보육 홀리스틱 패러다임(Theholisticparadigm)은 1980년대 이후 심리치료, 의학, 물리학, 생물학, 종교학, 경제학, 정치학 이론 분야에서 다양한 사상가들에 의해서 힘차게 제기된 매우 광범위하면서도 체계적이고 정합적인 사고체계이다. 그러나 홀리스틱적 사고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그것은 과거에 있었던 구시대에 대한 단순한 “새 시대”를 예견하는 새로운 사조 운동도 아니려니와 기존 문화에 역행하려는 단순한 반문화 운동도 아니다. AldousHuxley가 홀리스틱 교육철학을 영원 주의 철학(perennialphilosophy)이라고 명명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철학은 우주와 영성적 전통(spiritualtradition)에 그 깊은 사상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 분석적 과학적 이성에 의해서 고무.. 2020. 4. 8.
홀리스틱 교육 비전ㅣ유아ㅣ육아ㅣ보육 홀리스틱 교육은 자유주의, 낭만주의, 신비주의, 초월주의, 영성 주의, 종교주의, 신과학운동, 생태주의, 무정부주의, 개인주의, 열광주의, 급진주의, 인지학, 다중 교육, 탈학교론, HomeSchooling, 통합교육, 합류 교육, 아동 중심주의, 지구시민교육, 온생명 주의 교육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박영만, 2001). 이를 함축적으로 표현한 것이 세계 변용 교육 연맹(GATE : Global Alliance for Transforming Education 1990년 Chicago에서 설립)이 1991년 8월에 제시한 교육 2000 : 홀리스틱 교육비전 선언에 잘 나타나 있다 (Flake1993). 이 교육선언의 서론은 경쟁과 소비와 관료주의를 위주로 하는 산업․기술 사회의 지배적인 문화와 세계관으.. 2020. 4. 7.
생명존중 교육의 필요성ㅣ유아ㅣ육아ㅣ보육 생명체는 자연스러운 자신만의 성장의 리듬을 갖고 생기 있게 자라 간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기계론적인 우리 교육 현실에서는 그러한 아이들의 자연스러운 자람을 부모나 교사의 자기중심적, 이기적인 사고에 의해 잡아 뽑거나 과도한 영양분의 투여로 시들게 하거나 더는 자랄 수 없게 해버리지 않았나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더는 교사 중심이 의존적, 피동적, 타율적 학습이 아니라 학생이 자신의 성취 목표를 설정하고 스스로 수행하는 데 독립적, 능동적, 자율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self-directedlearning)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충분한 상황과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생명체인 아이들이 자신의 성장 리듬에 맞게 자신의 종자 안에 갖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피워갈 수 있도록, 적당한 양분과 물을 주고 자라.. 2020.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