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아버지의 자아존중감ㅣ유아ㅣ육아ㅣ보육

by URBAN CST 2020. 5. 6.

자아존중감은 한 사람이 자기 자신을 소중히 여기거나 가치를 두거나 승인하거나 좋아하는 정도 또는 한 사람이 자신의 진가(Worth), 가치(value), 또는 중요성에 대한 전체적인 감성적 평가(affective evaluation)로 정의할 수 있다(Blascovich & Tomaka,1991).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selfconcept)과 동일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자아의식(selfknowledge), 자기 이해(selfunderstanding), 자기 신념(selfconfidence), 자기 수용(selfacceptance)등으로 표현된다. 이 중에서 자아개념과 자기 신념은 특히 자아존중감과 유사한 개념으로 인식되는데, 일반적으로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과 유사 개념이지만 하위영역으로 사용되고 있다(송인섭, 1988).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 자신에 대한 만족이나 호의 정도 혹은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느껴지는 자신에 대한 가치감 등으로 정의되는 개념이다(Brinthaupt,1992).

자아존중감의 정의를 살펴보면 Rosenberg(1965)는 스스로를 존중하고 바람직하게 여기며 가치 있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정도이며, 자신에 대한 우월감이나 오만함은 자아존중감이 아니라고 이야기하였다. Coopersmith(1967)는 개인이 자신에 대하여 형성하고 유지하는 평가 또는 가치판단으로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태도로 표현될 수 있으며, 자신의 능력, 중요성, 성공, 가치 등에 대해 스스로에 대한 믿음에 대한 판단 정도를 이야기한다. Gordon(1977)은 자아존중감을 자신의 잠재적 행동과 중요한 타인의 평가를 반영한 개개인의 평가 지향으로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라고 이야기하였다. Harter(1993)는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평가적 태도나 가치판단 또는 자신에게 부여하는 가치로 정의되며, 개인의 적응 및 건강한 성격 발달과 자아실현에 중요한 요소로서 인간의 행동, 동기, 감정, 성취 및 인간관계에까지 폭넓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하였다. 도영숙(2008)은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하여 형성하고 유지하는 평가로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로 표현되고, 자신이 중요하고 유능하며 성공적이고 가치 있다고 보는 정도로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갖는 태도 속에 나타나는 자신에 대한 가치의 판단이라고 하였다. 이복희(2014)는 자아개념과 동일하게 취급되는 개념으로,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자신에 대한 평가적 ·감정적 태도를 의미하고,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며 가치 있게 느끼고 자신을 능력 있는 존재로 여겨 무슨 일을 할 때 자신 있게 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특성이라고 하였다.

Felker(1974)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은 능력 감, 소속감, 가치감의 하위영역을 가지게 되는데 이 세 가지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이라고 발달이 지연될 경우, 자아존중감은 부족하게 된다고 보았다. 먼저, 능력 감은 성취해야 할 목표를 효율적으로 성취하는가에 따라서 자신을 평가하는 것으로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개인적 성공과 자기 자신이 어떠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느낌으로 이러한 자각은 자긴 존중의 중요한 요소이다. 소속감은 인간은 누구나 집단에 소속되길 원하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소속감은 상호 일체감을 요구한다. 개인은 자신을 존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집단 구성원이 개인을 존중할 필요가 있고, 개인은 자신이 집단의 구성원들에 의해 수용되고 가치 있는 존재로 인정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가치감이란 자신이 얼마나 스스로를 좋아하는가 또는 자신이 의미 있는 타인으로부터 얼마나 사랑받는가에 대한 판단이다. 이러한 평가는 스스로가 가치 있게 자신을 바라보는 경우와 타인에 의해서 자신을 가치 있게 바라보는 경우가 있다(공창숙, 2006:재인용).

송인섭(1998)에 따르면 자아존중감은 ‘자기에 대한 긍정적 개념’으로 먼저, 자기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과 함께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기본적인 역경에 맞게 이겨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다. 둘째, 우리 스스로가 가치 있는 존재임을 느끼고, 필요한 것과 원하는 것을 주장할 자격이 있으며 스스로의 노력으로 얻은 결과를 즐기며 행복해질 수 있다고 믿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즉,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와 가치평가는 스스로에 대하여 자신감과 긍지를 갖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서로 믿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상적이고 건전한 발달에 필수적이며, 생존을 위한 결정적인 가치라고 할 수 있다(Curry& Johnson,1990).

부모의 자아존중감은 스스로에 대한 주관적 지각과 가치의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환경을 선택적으로 지각하고 경험하고 해석하여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가 된다(육아정책연구소, 2009). 자녀를 양육하는데 어머니는 다양한 변화와 선택의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이때 자신이 내린 판단에 대한 강한 신뢰 및 주제성에 의존하게 되는데 자아존중감은 어려움이나 난관에 부딪혔을 때 자신을 이겨낼 수 있는 원동력이므로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남인숙, 2008:재인용).

임현주(2013)의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계필 외(2012)의 연구에서도 배우자의 적극적인 양육 협조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녀 양육의 과정에서 배우자의 도움은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육에 있어서 양육자의 자아존중감은 자녀를 대하는 태도나 방식 즉, 양육행동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어머니의 높은 자아존중감은 민주적인 양육태도와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진행하고 있으며 낮은 자아존중감은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양육태도와 폐쇄적인 의사소통을 사용함으로써 자녀와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김영미 외, 2015;류칠선 외, 2013;신성희 외, 2009;신정이 외, 2008).

자아존중감이 스스로와 자신에 대한 부모의 평가에 의해 형성하게 된다는 반영 효과(mirroring effect)와 부모의 행동을 모방하여 형성한다는 모방 효과(modeling effect)는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신동주 외, 2011). 이러한 것을 선행연구의 결과로 찾아보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신동주 외, 2011;신동주, 2012;장미경 외, 20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