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치료4

자폐아동이란ㅣ미술치료란ㅣ정의ㅣ개념ㅣ육아정보ㅣ유아교육 1. 자폐아동이란? 자폐아동에 대한 관심은 1943년 미국의 Johns Hopkins의과대학 교수였던 Kanner가 “정감적 접촉의 자폐적 장애(Qutistic Disturbance of affective contact)"라는 논문에서 대인관계 형성의 어려움과 극심한 자폐적 고립, 언어와 의사소통의 문제 그리고 동일성의 유지 및 반복적으로 특이한 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을 ”조기 유아 자폐증“이라고 명명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는 소아정신분열병 및 정신지체와 구별하여 어려서부터 자폐적 정신장애를 보이는 환아를 유아 자폐증(Infantic Autism)이라고 하였다. Potter는 소아 정신병의 진단기준에서 주위 환경에 대한 흥미의 철회, 비현실적 사고, 느낌, 행동이라고 하였으며, 사고의 단절, 함구 등으로 표.. 2020. 7. 9.
안전애착 형성을 위한 상징의 역할ㅣ미술치료ㅣ육아정보ㅣ유아교육 Rubin은 상징은 무엇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였으며 상징을 만드는 사람은 자신의 마음속에 이미지를 지각하고,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인지적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환자들이 충동적으로 행동하고자 할 때 환자들에게 그림이나 조각을 만들도록 요구함으로써 자극, 욕구, 소망과 행동 간의 시각적 상징을 삽입하여 충동 방출을 중재함으로써 내담자들이 자신의 감정과 생각 충동을 신체적 행동화하는 대신에 그것을 종이 위에 표현되고 찰흙으로 표현하도록 하면 충동적인 욕구 방출을 조절하게 되고 고차원적 자아기능 발달을 촉진하게 된다(Rubin,2001, 이미애, 김갑숙, 2003, 재인용). 미술의 상징적 묘사는 바로 자기 자신을 안전하게 드러낼 수 있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아동.. 2020. 7. 2.
안전애착 형성을 위한 미술로서의 역할ㅣ미술치료ㅣ육아정보ㅣ유아교육 Kramer(1971)는 미술치료는 미술활동의 창작과정에서 치유력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Kramer는 단지 시각적으로 상징화된 회화의 의사소통이 아니라 창조성을 미술치료 과정의 단서로서 강조하였으며 미술작품을 창작하는 행위가 내면적 경험의 변형과 완화, 방향 전환을 포함하여 통합, 승화를 위한 행동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이미애, 김갑숙, 2003, 재인용). 즉 상상력을 동원하고 자발적으로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기회인 동시에 개인적인 변화와 감정적 보상, 성취감으로 이끌어 가는 경험을 갖게 되는 창작 과정에서 내담자를 치유하는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창조적 미술의 경우 아동의 생각과 느낌이 다양한 모습으로 미술을 통해 형성되고 반영된다. 마찬가지로 치료적인 대인관계를 통해서도 그러할 수 있으며, 또.. 2020. 7. 1.
미술치료와 애착의 안전기반ㅣ육아정보ㅣ유아교육 치료는 내담자에게 안전기반을 제공하는 치료사의 역할로서 시작된다. 이것은 Winnicott의 ‘안아주기(holding)'와 유사한 역할이다. 내담자에게 치료실 내에서 자신의 사고와 느낌을 탐색하고 표현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 치료사가 하는 역할은 아동에게 세상을 탐색하게 하고 안전기반을 제공하는 어머니의 역할과 유사하다. 치료사는 아동의 탐색을 신뢰․경청하고 동정적으로 반응하고자 노력하며 할 수 있는 한 아동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느끼고 자주 공감하고자 애쓴다(이미애, 2004). 이로 인해 치료사는 내담자의 정서와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치료실 내에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애착 이론의 많은 치료적 구조의 공통점은 안전기반이다. 불안정 애착 아동은 과거의 애착 대상을 과거의 기억과.. 2020.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