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미술치료와 애착의 안전기반ㅣ육아정보ㅣ유아교육

by URBAN CST 2020. 6. 30.

치료는 내담자에게 안전기반을 제공하는 치료사의 역할로서 시작된다. 이것은 Winnicott의 ‘안아주기(holding)'와 유사한 역할이다. 내담자에게 치료실 내에서 자신의 사고와 느낌을 탐색하고 표현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 치료사가 하는 역할은 아동에게 세상을 탐색하게 하고 안전기반을 제공하는 어머니의 역할과 유사하다. 치료사는 아동의 탐색을 신뢰․경청하고 동정적으로 반응하고자 노력하며 할 수 있는 한 아동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느끼고 자주 공감하고자 애쓴다(이미애, 2004). 이로 인해 치료사는 내담자의 정서와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치료실 내에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애착 이론의 많은 치료적 구조의 공통점은 안전기반이다. 불안정 애착 아동은 과거의 애착 대상을 과거의 기억과 맞물려 치료 내에서도 치료사에게 똑같이 전이되어 반항하거나 저항을 하는 행동을 보일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또다시 부정적인 애착을 형성하는 것은 막아야 한다. 내담자로 하여금 지지와 지도를 받아 그의 사고, 느낌, 행동의 밑바닥에 잠재하는 모형들의 참모습을 스스로 탐색할 수 있고 부모와의 초기 경험의 성격을 검토함으로써 무엇이 자신으로 하여금 현재 자신의 내부에 활동 중인 모형들을 구축하였는지, 자유로이 재구성하게 하였는지를 이해하도록 믿도록 격려하는 것이다(James,1994;이미애, 2004, 재인용).

Rubin(1987)은 일찍이 미술치료사는 아동들에게 ‘안전한 보호적 환경(framework for freedom)’을 제공해야 함을 강조하였다(Rubin, 김진숙 역, 재인용, 2001). 안전한 보호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미술치료사가 해야 할 첫 번째 과제는 안전과 지지환경에서 자유로울 수 있도록 아동을 위한 조건을 확립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기반을 제공하는 작업을 기술하는 치료사는 필수적인 행위로써 보호자, 제공자, 및 지도자의 행동을 해야 하며, 또한 안전, 보호적인 환경, 치료적 돌봄, 적절한 임상기술 그리고 적절한 치료적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안전한 보호적 환경’은 미술로서 자유와 질서 그리고 통제를 통한 물리적, 심리적인 조절 영역을 탐색함에 있어 아동들을 위해 안전과 지지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며(Cormier,1999;이미애, 2004, 재인용), 이것은 Bolwby의 ‘안전기반(securebase)'의 목적과 같은 맥락을 갖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