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홀리스틱 교육의 역사ㅣ유아ㅣ육아ㅣ보육

by URBAN CST 2020. 4. 8.

홀리스틱 패러다임(Theholisticparadigm)은 1980년대 이후 심리치료, 의학, 물리학, 생물학, 종교학, 경제학, 정치학 이론 분야에서 다양한 사상가들에 의해서 힘차게 제기된 매우 광범위하면서도 체계적이고 정합적인 사고체계이다. 그러나 홀리스틱적 사고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그것은 과거에 있었던 구시대에 대한 단순한 “새 시대”를 예견하는 새로운 사조 운동도 아니려니와 기존 문화에 역행하려는 단순한 반문화 운동도 아니다. AldousHuxley가 홀리스틱 교육철학을 영원 주의 철학(perennialphilosophy)이라고 명명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철학은 우주와 영성적 전통(spiritualtradition)에 그 깊은 사상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 분석적 과학적 이성에 의해서 고무된 소위 18세기의 계몽주의 사조가 서양의 사상계를 지배하게 되면서 진화하는 우주에 밀접한 연계성을 지닌 인간성에 대한 깨달음을 강조하는 이와 같은 영원 주의의 지혜가 격하되면서 낭만주의(romanticism)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다. 홀리스틱 교육은 Jean Jacques Rousseau, Johann Pestalozzi, Friedrich Freobel과 같은 낭만주의 이론가들의 사상에 뿌리를 두게 되었다(박영만, 2001).

20세기에 와서 홀리스틱 교육자들은 영성적 개념에 자리하는 심층 심리학적 언어를 채택하였다. 그들은 우리 안에 있는 신성의 발현과 자아실현을 강조한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으로 결국 교육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예술적, 영성적 잠재 가능성을 꽃피우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런 홀리스틱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은 사소한 것을 개선하거나 요즈음 이야기하는 새로운 학교 문화를 창조하자는 것이 아니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교육의 근본적인 변용(transformation)을 이야기하려는 것이다. 홀리스틱 교육철학은 모든 교육 관련자들에게 중대한 도전장을 내놓으려는 것이다. 참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돌보려는 사람들은 우리 문화의 진화 과정을 심각하게 재고해야만 한다. 이것은 우리의 인간성과 우리가 사용하지 않은 가능성과 개인이 더 큰 지역사회와 국가, 이 행성과 어떻게 관계를 가져야만 하는지를 근본적으로 다시 규정해야 하는 문제인 것이다(Miller,1991). 따라서 홀리스틱적 접근은 교육을 밑바닥부터 다시 설계하자는 것이다. 교육의 기본 가정, 목표, 교육과정, 내용, 학급의 구조와 학교의 구조, 학습자와 교사, 행정가의 책임 있는 역할을 과감하게 변화시키자는 것이다.

Socrates의 “너 자신을 알라”는 말이 홀리스틱 교육의 하나의 지침이 되며 Plato의 동굴의 우화는 교육의 은유이며, 그의 이데아론은 물질성의 유한성을 뛰어넘어서 깨달음을 얻는 홀리스틱적 교육이념의 전형이라고 보았다. Augustin의 직관과 명상, Rousseau의 성선설과 소극 교육, Pestalozzi의 사랑의 교육애와 실물 교수법, Froebel의 놀이를 통한 교육, Tolstoy와 Neill의 아동 중심의 자유학교, Ferrer와 Counts의 사회변혁을 위한 교육이론과 실천 등을 홀리스틱 교육의 역사적 배경으로 보았다(P.Miller199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