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자폐증의 원인과 진단ㅣ육아정보ㅣ유아교육

by URBAN CST 2020. 7. 11.

지금까지 자폐증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설명 이론들이 제기되었는데, 그중에 한 가지가 부모와 유대관계를 맺는 아동의 능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이제 자폐는 대뇌 구조상의 구조적 차이, 대뇌가 정보를 처리하고 통합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는 신경발달장애로 인식되고 있다. 현대 연구는 자폐의 대뇌기능, 행동 그리고 학습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차이를 밝히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유전학적 연구는 자폐의 원인이 유전에 있다고 하고, 한 가지 유전자가 아니라 몇 가지 자폐와 연관이 있다고 하였다. 자폐증상의 다양성과 기타 의학적, 환경적, 인지적 요인과의 공병률 때문에 자폐를 진단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자폐 진단은 다방면의 전문가 평가를 거친 다음에 결정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폐를 가진 아동을 치료하는 많은 프로그램과 접근방식이 있으나, 어느 것도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 1950년 대, 정신역동적 접근이 우세하였는데, 이때는 자폐가 부적절한 양육으로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이 별 효과를 증명하지 못하자, 이제 신경발달적인 장애로 인정되기 시작하였다. 생물학적 중재(즉, 약물, 비타민, 그리고 영양제) 방법이 연구 중에 있는데 행동 및 발달적 연구가 자폐아동의 치료에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행동 연구는 자폐아의 인지, 모방, 언어, 행동 그리고 사회성 결함을 치료하는데 행동-학습 이론(behavior-learning theory)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같은 맥락으로, 발달적 연구는 고차적 기술을 획득하기 전에 필요한 선행조건이나 기술 수준의 문제가 있다는 제안을 하였다. 이러한 접근들은 가정과 학교에서 자폐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행동-학습원리는 자폐아에게 예측 가능하고 이해할 수 있는 원인-결과(cause-and-effect)/시행-착오(trial-and-error)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자폐아동의 구체적 욕구를 이해하고 나면, 아주 조그마한 사건부터 행동학적인 원인-결과 학습 경험을 깨닫게 해 주고, 아동의 흥미에 부합하는 보상(reward)/유인(incentive) 체계를 사용하여 구조화된 상황에서 새로운 기술을 가르치도록 한다. 행동 학습 이론을 적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으며,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는 강도도 매우 다양하다. Lovaas(1981)는 자폐아동에게 구체적인 기술을 가르치기 위하여 조작적 행동 학습이론(operant behavior learning theory)에서 발전된 응용 원리(긍정적 강화, 행동 조성, 행동 연쇄, 과제 분석, 오류 없는 학습, 점화 그리고 모델링)를 적용한, 즉 일대일, 고강도 변별 시행 교육(discrete trial teaching, DTT)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능적 분석 기법은 문제행동을 더욱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해 주어서, 효과적인 행동 중재 계획을 고안해내는 데 도움을 준다. TEACCH(자폐 및 자폐와 연관된 의사소통 장애아동을 위한 치료와 교육(Treatment and Education of Autistic and Related Communication Handicapped Children) 프로그램은 인지-행동적 그리고 발달적 접근을 강조하는데, 독립적으로 환경과 일을 이해할 수 있게끔 도와주기 위하여 물리적 환경을 조직화해서 구조화된 교육과 상황에 따른 교육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Greenspan와 Weider의 Floor-Time 모델 같은 다른 프로그램은 발달 맥락에서 우연적(incidental)/원인-결과 교육을 강조한다. 이것은 아동이 먼저 이끌고 다른 아동과 상호작용 기회를 조성시켜주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마다의 강조점에도 불구하고, 강도 높은 광범위한 초기 중재 프로그램은 발달 장애를 가진 아동의 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자폐아동에 적용한 다양한 프로그램 즉 대뇌와 생물학적 자폐와의 연관성이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아동과 가족의 행동변화 욕구에 맞게끔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자폐증의 다양한 원인과 다양한 치료 결과에도 불구하고, 자폐증은 치료사가 개별적으로 발달 및 행동 이론, 연구결과, 기법들을 잘 이해하고 통합시켜서 치료적 중재안을 마련할 때 가장 이상적이다. 이러한 발달적 행동적 지식에 근거하여, 치료사는 아동을 효과적으로 참여시키는 아동-지향적인 접근을 실천하고 습득한 기술을 일반화하는 것과 학습을 위한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