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공동주의의 구성요소ㅣ유아ㅣ육아ㅣ보육

by URBAN CST 2020. 4. 20.

공동 주의(Joint Attention)는 어린 영아들의 말하기 이전과 초기 언어적 의사소통의 발달에 관심이 있는 발달심리학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연구되었고(Elian, 2005), 오랫동안 여러 연구자들과 의사들에 의해 꾸준하게 연구되어 오고 있다(Bruinsma, Koegel, & Koegel, 2004). 영아기 공동 주의 능력의 출현은 단순히 영아가 타인과 같은 외부 대상이나 사건을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공동 주의 관련 연구들에 따르면, 영아기 공동 주의 능력은 영아기에서의 사회인지(Carpenter et al., 1998; Tomasello, 1995), 모방학습(Carpenter et al., 1995; Slaughter & McConnell, 2003), 정서조절(Morales et al., 2005), 언어능력(Baldwin, 1995; Carpenter et al., 1998; Desrochers et al., 1995; Markus et al., 2000; Mundy & Gomes, 1998; Mundy et al., 2007)과 관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아동 초기의 마음이론(김연수, 정윤경, 곽금주, 2009; Aschersleven et al., 2008; Charman et al., 2000; Mundy et al., 1994), 사회적 유능감(Hecke et al., 2007), 언어능력(Charman et al., 2000; Morales et al., 2000b)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공동 주의 능력은 언어와 사회인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아기의 중요한 이정표(milestone)라고 할 수 있다(Morales et al., 2000a).

영아가 흥미가 있는 사물이나 사건에 다른 사람과 함께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인 공동 주의(joint attention)는 어떤 사물이나 사건에 대해 두 사람 사이에 협조적이고 공유된 시각적 주의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Bakeman & Adamson, 1984; Scaife & Bruner, 1975; Tomasello, 1995).

이러한 공동 주의는 단순하게 영아가 타인과 같은 곳을 바라보게 되어서 나타나는 능력(Butterworth, 1991, 2001; Corkum & Moore, 1995)이 아니다. 공동 주의는 영아가 타인이 자신과 함께 특정한 외부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같은 대상에 타인과 함께 주의를 집중하는 것을 의미한다(Tomasello, 1995). 영아가 공동 주의를 나타내기 위해서 Brune(2004)은 세 가지 능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먼저 영아는 타인이 특정 대상에 주의를 집중하여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공동 주의를 나타내기 위해 영아는 타인의 주의적 관계에 대한 이해(Comprehension of attentional relation)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여(Social engagement)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것은 영아가 타인이 주의를 집중하고 있는 특정 대상에 자신의 주의도 이동시키거나,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대상에 타인의 주의를 끌어들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영아는 타인과 외부 대상에 자신의 주의를 집중하고, 이 사이에서 주의를 이동하고 억제할 수 있는 주의 조절(Attention regulation) 능력을 가져야 한다. 즉, 영아는 타인의 주의를 이해하고,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대상이나 사건에 타인이 주의를 기울이도록 타인의 주의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타인이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특정 대상에 자신의 주의를 따라 기울일 수 있도록 주의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공동 주의는 영아기 인지 및 사회적 발달의 핵심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정윤경, 곽금주, 2005; Charman et al., 1998).

영아기 공동 주의는 타인이 주의를 기울이는 사물이나 사건을 탐지하여 따라가는 시선 따라가기, 타인과 외부 대상 사이에서 시선 교환하기, 영아가 관심 있어하는 대상으로 타인의 주의를 이끌기 위해 외부 대상을 가리키기, 주기, 보여주기 등의 행동을 통해 나타난다(김현경, 2008; Mundy et al., 2003; Seibert et al., 1982; Hecke et al., 20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