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의 관계ㅣ유아교육ㅣ육아정보ㅣ보육

by URBAN CST 2020. 10. 30.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은 사회적응과 행복감으로 삶을 유지하는 필수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유아는 모든 일에 적극적이며 감정이 풍부하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이 뛰어난다.



정지혜(2011)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으로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들 모두 간 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정서지능의 자기 조절 요인과 자아존중감의 소속감 요인이 가장 높은 상관을 이루었다는 연구 결과를 보였다. 이는 유아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자기 가치를 인식하며 자기 존중을 하면 정서지능도 함께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박영애, 석주영, 안옥희, 박인전(2003)은 정서지능이 유아가 자신 및 타인의 감정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 및 조절과 활용을 효과적으로 하여 인간관계를 통해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하는 것에 있어서 기초가 됨을 강조하고 있다. 박영애 외(2003)는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적절히 조절하는 유아는 자신의 행동이나 품성, 전체적인 자아 가치감, 학업성취 능력과 사회적 수용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긍정적인 사고의 평가는 정서적으로 안정적이며 좋은 감정을 스스로 느끼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행동 수행을 위한 동기부여를 함으로써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 외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도 주로 공포심이나 불안감 우울 공격성 등 임상적 성격특성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가진 유아의 낮은 자아존중감과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Wylie(1989)는 불안감이나 우울증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지닌 유아는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대인관계가 불안정하며 정서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하다고 하였다(최현미, 2011 재인용). 자아존중감이 높은 유아는 의사표현을 확실히 하며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고 사회적 활동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지만, 자아존중감이 낮은 유아는 대인관계에서 소극적이며 자신에 대해 책임감이 없고 불안정한 정서를 보인다.


Eccles(2007)은 부모나 교사가 신뢰감을 보여주고 유아를 사랑하고 배려하고 존중해줄 때, 새로운 문제 상황에 도전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필요한 사회 · 정서적 지원을 제대로 해줄 때, 유아는 자신에게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지며 높은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박경자 외, 2008 재인용). 자아존중감이 낮은 유아는 또래관계에서 어울리지 못하며 자신을 비하하고 열등감을 느끼며 방탕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연구(김영숙, 1997)는 자아존중감이 인간의 미래 행동을 결정하고 설명하며 예언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견해로 해석할 수 있다.



선행연구들(박영애, 최영희, 박인전, 2000; 석주영, 안옥희, 박인전, 2003; 정지혜 2011)에서 밝혀진 결과와 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Rosenberg(1965)는 자아존중감 형성에 기초가 되는 정서지능은 어린 시기의 성장과정에서 쌓인 자부심 또는 수치심과 같은 정서상태를 경험하고 습득함으로 자아존중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최현미, 2011, 재인용).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자아존중감이 높은 유아는 자신과 타인을 잘 인식하고 수용하며 타인과 자신의 능력을 인식할 수 있는 정서지능이 높기 때문에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남을 의미하며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자아존중감이 정서지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