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정서지능의 구성요인ㅣ유아교육ㅣ육아정보ㅣ보육

by URBAN CST 2020. 10. 27.

김경회(1998)는 정서지능이란 '유아가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적절히 표현하며 상황에 따라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 목표를 향해 자신의 정서를 이용하는 능력, 감정이입을 통해 타인의 정서를 인지하는 능력, 그리고 정서를 ‘교사용 영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6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정서지능은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 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인 6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자기정서의 이용은 스스로 성취를 위해 노력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는 능력이다.


두 번째,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에는 타인의 감정 상태를 이해하고 적절히 반응하며 타인을 배려하는 감정이입능력을 의미한다.


세 번째,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에는 유아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말한다.


네 번째,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에서는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줄 알고 처리하며 변화시키는 능력으로 자신의 충동을 조절하며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다.


다섯 번째, 교사와의 관계는 교사를 잘 따르며 사람과 사람간의 만남에서 대인관계 기술능력을 말한다.


여섯 번째, 또래와의 관계에는 친구와 어울리며 쉽게 사귈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유아의 정서지능이 단계적으로 발달한다는 이론에 기초함을 알 수 있다.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아가 자신의 정서를 타인에게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며, 대인관계에서 정서를 이용하는 능력, 상황에 따라서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겠다.


정서지능과 관련된 선행연구로 박영애 외(2003)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간에 높은 상관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Rosenberg(1965)는 어릴 때부터 성장 과정으로 쌓인 자부심 또는 수치심과 같은 정서상태가 자아존중감 형성에 기초가 되기 때문에 정서지능은 자아존중감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고하였다(최현미, 2011, 재인용). 정서지능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의사소통 능력,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원만한 대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Parker & Asher, 1987; 임미혜, 2005 재인용). 즉,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하며 평가하였고 정서 상태는 참을성과 인내심을 기르며, 자신보다는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고 배려하는 마음 상태로서 자신의 정서를 컨트롤하여 성취감을 이루어나간다.


유아기는 정서표현에 대해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고, 또한 정서 표현을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증가하는 시기이다. 다시 말해, 유아들은 정서의 변화를 표현할 수 있고 발전시키며 자신의 목표에 따라 정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성인이 된 이후에도 학습이 계속되지만, 유아기의 경험이 결정적으로 중요함을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나누는 능력과 성취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하게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 그리고 함께 나눌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Eisenberg와 Losoya(1997)에 따르면, 정서지능이 높은 유아는 사회성이나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정서를 잘 조절하고 표현하며, 유아교육기관 생활에서 또래들 사이에서 선호도가 높으며, 친사회적행동을 보인다(박경자 외, 2008, 재인용). 반면, 정서지능이 낮은 유아는 타인의 고통이나 슬픔에 대해 무관심하고 배려하지 않는 사회성에 발달문제를 보이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상황에서 소극적이며 위축되는 내면적 문제와 과잉행동, 공격성, 비행 행동 등의 외향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강인숙. 김정택, 2006).


선행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충동적이거나 고립되고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는 정상적인 유아보다 대인관계 조절 능력이 부족하고, 비행 청소년들은 대인관계 조절능력과 자기 평가 기술 능력에 부족함이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이는 유아의 대인 관계 조절 능력이 사회적 적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성인기의 적응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김명숙, 2008). 이는 타인과 자신의 감정에 대한 이해와 지각은 유아기의 정서지능 발달에서 매우 중요함을 나타내며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 타인과의 경험을 통해 습득된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삶의 현장에서 함께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빠르고 신속하게 처리하고, 개인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능력으로 인간에 삶에 있어 결정적이며 중요한 시기인 유아기의 행복감은 경험을 통해 습득되며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될 부정적 정서들을 지속적으로 이겨낼 수 있는 힘을 기르므로 유아기때의 행복감은 매우 중요하다(최은지, 2015). 정서지능은 유아의 사회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중 하나이다. 정서적으로 안정된 유아들은 다양한 주변 환경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대인관계능력이 뛰어나며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정서지능에서는 인간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개념으로 적응과 성취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유아기에 필수적인 대인관계 형성의 기본이라는 내용과 일치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