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애착의 개념ㅣ육아정보ㅣ유아교육

by URBAN CST 2020. 6. 17.

1차적인 가정 경험이 없다면 정신건강의 기초는 세워지지 않는다. 유아의 욕구에 본질적으로 관심을 갖는 사람이 없이는 유아 혼자서는 외부 현실과 효과적인 관계를 맺지 못한다. 만족스러운 본능적 욕구 충족을 주는 사람이 없다면 유아는 자신의 신체를 발견할 수 없고 통합된 인격을 발달시키지도 못한다. 사랑하고 증오할 사람이 없다면 유아는 자신이 사랑하고 증오하는 사람이 같은 사람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며, 그 결과 죄책감을 발견하지 못하고 고치거나 회복할 욕망도 발견하지 못한다. 이러한 제한된 인간과 물리적 환경이 없다면 유아는 자신의 공격적인 생각이 실제로 파괴할 수 없는 한계를 알 수 없게 되어 환상과 사실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한다. 함께 살며 자신에 대한 공동의 책임을 갖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없다면 유아는 그들을 떨어뜨려 놓으려는 자신의 충동을 발견하지도 못하고, 그렇게 하지 못했을 때 생기는 안도감을 경험하지도 못한다(Bowlby,1952;Holmes,2005).

애착이란 용어는 Bowlby(1958)가 영아와 어머니 간의 유대관계를 설명하면서 최초로 사용한 개념이다. Bowlby에 의하면, 애착 행동은 개체의 종족보존을 위해 자연스럽게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개체가 주변 환경에 적응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생존 기능이라는 것이다(Holmes,2005, 이경숙 역, 재인용). Bowlby는 애착의 동물행동학적인 이론을 제안하면서, 애착을 다른 사람에게 근접성을 추구하려는 행동과 그 근접이 손상되었을 때 그것을 회복시키려는 행동 양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애착의 질은 주 양육자 혹은 부모의 양육의 질에 달려있다고 하며 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집중하였다. 애착은 다른 사람에게 접근을 유지하려는 행동, 또는 그 근접을 손상되었을 때 회복하려는 행동으로, 애착 대상이 낯선 환경에 대한 두려움을 견디게 해주는 안정기반이 되어 영아가 주위 환경을 자유롭게 탐색하게 한다.

Ainsworth(1979)는 애착을 사람이나 동물이 자신을 다른 특별한 개체 사이에 형성하는 정서적 유대라고 정의하면서 이러한 정서적 유대관계는 시간이나 공간을 넘어서 지속된다고 하였다. KlausKennell(1978)애착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계속되는 두 사람 간의 독특한 관계로 정의했으며, Cohen(1978)은 애착을 두 사람 간의 특수한 애정적 관계이며 상호 특별한 관심을 가지므로 애착 대상은 다른 사람이 대신할 수 없는 심리적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또 PapaliaOlds(1979)는 애착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와는 달리 특정 두 개인 사이에만 형성되는 능동적, 애정적, 상호작용적 관계이며 두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은 계속해서 서로 결속을 강화하고 강력하게 한다고 정의하였다(허윤진, 2003, 재인용).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통해서 보았듯이 애착은 특정인에 곁에 있으려는 안정된 성향이라는 것이다. 애착은 누군가에게 접근하며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의 여부다. 학령기 아동은 이전보다 자신이 경험하는 사회관계의 영역이 넓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 아동들은 또래 집단을 형성하고 우정을 만들어 가면서 상대적으로 부모가 일방적 권위를 지니는 아동기의 애착관계에서 벗어나 상호적인 관계의 재협상이 이루어지고, 또래 관계가 점차 중요해지면서 또래 관계에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Buhrmester&Furman,1987). 그러나 Kenny(1987)애착의 질은 자녀가 집을 떠나 사는 동안에도 환경을 정복하고, 사회적 능력을 계속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유혜종, 2004, 재인용). 학령기에도 아동들은 스트레스를 받을 때 여전히 애착 대상을 안전 기지로 의존하여 안정을 찾고 탐색해나간다는 연구결과는 비록 학령기 아동은 신체적정신적 능력의 증가로 인해 신체적인 근접성 유지는 덜하지만, 애착 대상의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애착 체계의 목적이 여전히 유지됨을 의미한다.

애착형성을 인지적 발달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Bowlby는 아동기 애착 안전의 중요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내적 작용 모형 개념을 개발하였다(Bowlby,1973.Holmes,2005, 이경숙 역, 재인용). 그는 내적 작용 모형은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견해를 가지는 기초가 되며 생애 첫 달부터 시작되는 것으로서 안정과 안전을 얻으려고 시도하는 유아에게서 시작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내적 작용 모형의 형태는 부모와 일상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아동의 실생활 경험에 기초를 둔다. 내적 작용 모형의 기본적인 특성은 나는 가치 있고, 사랑스러운 사람인?”,“내가 만나는 타인 즉, 애착 대상은 믿을만하고, 내가 필요할 때 나를 돌봐줄 것인가?”라는 두 가지 중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반영한다(Bowlby,1973,1982;김민동, 2002, 재인용). 안정 애착된 아동은 반응을 잘하고 애정이 깊으며 신뢰할만한 보호자 및 사랑받고 주목받을 가치가 있는 자신에 대한 내적 작용 모형을 저장하고 있다. 이에 반해 불안정 애착 아동은 세상은 위험한 장소이고 즉, 다른 사람들을 매우 주의 깊게 다루어야 하는 곳으로 간주하고, 자기 자신도 사랑받을 가치가 없고 쓸모도 없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내적 작용 모형의 적응적통합적 형태는 안정 애착된 개인의 특성이며 반응적 양육의 경험을 받지 못한 아동에게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초기 양육자인 어머니의 일관성 있는 양육을 제공받은 안정애착 아동은 적응적인 작용 모형을 가졌으나 비 일관적이며 민감한 반응을 제공받지 못한 불안정 애착 아동에게는 복잡한 그리고 부정적인 작용 모형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내적 작용 모형이 부정적으로 확립되었을 경우는 아동이 자신은 나쁘고 다른 사람들이 싫어하며 가치 없는, 사랑스럽지 못한 그런 사람으로 지각하게 된다. 그리고 타인에 대하여 부정적이며 타인들은 자신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주지 않는다고 지각하며 신뢰하지 못하며 자신을 괴롭힐 것으로 지각하게 된다. 동시에 세상은 안전하지 못하고 삶은 가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안전기반은 애착 대상이 옆에 있을 때 아동의 심리 내에 안정감을 조성한다. 이것은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감을 가지게 하며 환경을 탐색하려는 행동을 북돋는다.

 

댓글